‘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라는 말이 있듯이 일상에서 작은 변화가 반복되면 익숙해지다가 점차 무뎌진다.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거듭되면 무시하기 어려울 정도로 커지는데 전 국민의 80퍼센트가 경험하는 목, 허리디스크 역시 그렇다.
척추질환의 대표적 질환은 디스크!
척추는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나쁜 자세를 반복하면 근육에 무리가 가고 통증으로 까지 이어진다. 이때 근육을 풀어주고
안정을 취하면 대게 증상은 사라지지만 가벼운 증상도 척추에서 보내는 적신호이기 때문에 가볍게 생각해선 안된다. 추간판탈출증이라는
척추의 경고를 무시한 결과물을 가져오기 때문이다.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있는 일종의 쿠션으로 말랑말랑한 수핵과 그것을 감싸고 있는 질긴 테의 섬유륜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복적인 충격으로 미세 균열이 생기면 수핵이 섬유륜 밖으로 빠져나와 바로 뒤에 지나가는 척수 신경을 압박해 팔,
다리에 통증을 가져다준다. 심한 경우 팔다리 마비나 대소변 장애를 유발하는데, 정확한 증상은 목디스크와 허리디스크 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주로 중년기 이후 퇴행적 양상을 보이는 목디스크
경추에는 온몸으로 뻗어가는 신경다발이 있는데, 튀어나온 목디스크가 신경관을 누르면 통증이 목, 어깨 팔은 물론이고
다리까지 이어질 수 있다. 초기에는 목덜미가 뻣뻣하고 목 주위에 통증이 반복되고 압박감에 시달리다가 이후 서서히
어깨와 팔로 뻗쳐서 당기고 저린 증세가 손가락 끝까지 통증이 미치기도 한다. 이 밖에 앞가슴이나
옆구리의 통증, 두통과 어지럼증, 청각 및 시각 이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노트북을 즐겨하는 20~30대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 생활패턴은 목 근육을 계속
긴장한 상태로 만들어 목의 퇴행을 앞당긴다. 특히 목디스크는 말초신경뿐만 아니라 중추신경인 척수까지 눌러 하반신
마비 심지어 전신 마비 등의 치명적인 위험이 따를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허리의 압력을 주는 직업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허리디스크
사실 그 반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추뼈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기능도 똑같으며, 피부 절개 후 경추까지 접근하는 것도 허리보다 쉽다.
또한 목주름을 이용해 1cm 정도 작게 절개하므로 시술 및 회복 기간에 대한 부담감도 적으며 회복 기간 역시 더 빠른 편이다.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물리치고 바른 몸 만드는 건강비법
대부분 자세를 고치고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통증이 나아지지만 별다른 효과가 없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도 있다.
통증이 자연스러운 증상이라고 방치하다가 오히려 병을 키울 수 있어 척추 통증이 지속된다면 적절한 시기에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기사바로가기
https://health.chosun.com/healthyLife/column_view.jsp?idx=1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