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페이지
  • 무릎질환
  • 이전 페이지

퇴행성관절염

Osteoarthritis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노화, 과사용, 외력, 손상, 불안정성, 유전, 비만, 근력저하 등 여러 원인들에 의해 무릎 연골이 소실되면서, 관절면이 불규칙해지고, 점차 관절 간격이 감소하며, 관절면이 흔들리고, 관절의 변화(오다리)까지 초래하는 질환으로 주로 통증, 부기, 압통, 삼출액 고임, 돌출, 운동범위감소, 체중부하장애 등의 전반적인 관절이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 정상 무릎
    정상 무릎
  • 퇴행성관절염
    퇴행성관절염

무릎연골은 약 3~4mm의 두께로 무릎의 뼈를 감싸주는 구조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쿠션의 역할과 매끄러운 관절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는 윤활막 같은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무릎을 사용하여 연골에 마모가 발생해서 점차 연골막이 얇아지거나 심한 충격이나 무리한 사용으로 연골이 벗겨지면서 뼈에서 떨어져 나오면서 연골막 관절면이 불규칙하게 변하면서 무릎의 퇴행성관절염이 시작이 됩니다. 한 번 손상된 연골은 스스로 치유되거나 잘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손상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점차 악화되면서 퇴행성관절염으로 급속도로 진행하게 됩니다. 켈그렌 로렌스 분류법(KL grade : Kellgren Lawrence grade)

  • 관절염
    관절염 1기
  • 임상적으로 의심스러운 퇴행성 관절염 및 미미한 골증식이 보임
  • 관절염
    관절염 2기
  • 경도 퇴행성 관절염으로 골증식이 뚜렷하게 보이나 관절강 간격 감소는 거의 없거나 미미
  • 관절염
    관절염 3기
  • 중증도 퇴행성 관절염으로 골증식이 Grade 2에 비해 뚜렷하며, 관절강 간격의 감소가 보임
  • 관절염
    관절염 4기
  • 심각한 퇴행성 관절염으로 뚜렷한 골증식과 더불어 심각한 관절강 간격감소와 연골하골 경화가 보임

원인

퇴행성관절염은 대체로 노화나 무리한 사용(과사용)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과도하고, 지속적인 반복적인 마찰에 의해 주로 무릎내 연골이 마모되면 닳거나 벗겨지고, 삐걱거리게 되고, 이어 반달 연골판도 해지고 약해지면 관절면은 더욱 불규칙해지게 움직이게 되면서 관절염으로 서서히 진행됩니다. 얇아지고 마모된 연골과 약해지고 헤진 반달연골판에 의해 대퇴뼈와 정강이뼈 사이공간이 좁아지게 되면서 무릎관절 간격이 가까워지는데 무릎간격이 가까워지면 무릎주위의 인대가 헐거워지고 느슨해지면서 무릎이 흔들리는 불안정성이 추가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불안정성은 관절면이 불규칙하게 움직이게 하며, 삐걱거리게 되면 다시 추가적인 연골손상이 발생하고, 손상을 입어 떨어져 나온 연골조각이나 찢어진 반달연골판에 의해 무릎관절내에서 염증반응이 더욱 증폭되고, 이런 염증반응에 의해 무릎관절손상이 더욱 진행되는 악순환을 겪게 됩니다.

원인

주로 체중이 가해지는 자세인 서 있거나 걸을 때, 앉았다 일어날 때 무릎 주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무릎 관절염이 발생하면 서 있거나 걸을때처럼 활동할 때 통증이 심해지는데 주로 앉았다 일어나기, 걷기, 오래 서있기,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으로 인해 힘들며, 통증외에도 관절에서 열이 나고, 부으며, 물이 차기도 하며 점차, 관절의 모양이 변해 아픈 부위가 튀어나오기도 하고 뼈가 자라난 것 같기도 합니다. 무릎 관절염이 진행되서 무릎 사이가 점차 벌어지고 휘어지는 변형이 오면, 무릎을 완전히 구부리거나 다 펴지지 않기도 하는데 특히, 쭈그리는 자세는 통증이 심해 불가능해지기도 합니다.

  •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무릎이 쑤시면서 아픈데, 앉거나 누워서 쉴 때는 괜찮다.
  • 무릎에서 삐걱거리는 느낌이 나면서 뼈와 뼈가 부딪히는 소리가 크게 난다.
  • 무릎을 굽히면 통증이 생기면서 굽히는 동작을 하기 어렵다.
  • 무릎 주변의 근육이 가늘어지고 힘이 없다.

십자인대파열

치료방법

  • 6대암등 국가건강검진
    지정 의료기관
  • 영유아검진
    지정 의료기관
  • 산업재해 지정 의료기관
  • 사전연명의료 의향서
    등록기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정
    의료기관
  •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 의료기관
  • 대한하키협회
    국가대표 지정 의료기관
  • 6대암등 국가건강검진
    지정 의료기관
  • 영유아검진
    지정 의료기관
  • 산업재해 지정 의료기관
  • 사전연명의료 의향서
    등록기관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지정
    의료기관
  • 호흡기전담클리닉
    지정 의료기관
  • 대한하키협회
    국가대표 지정 의료기관
전화걸기
오시는길
진료서비스 닫기
전체 진료과안내 닫기